평소 부동산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공시지가, 실거래가, 호가 등등 다양한 부동산 용어가 나오는데 이 중에서도 공시지가가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더라구요. 뭔가 공식적인 가격인 것 같은데 사실 부동산에 별 관심이 없어서 그냥 넘기고 말았는데 이번에야 말로 제대로 궁금증을 해결하고, 알려드리고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공시지가란?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 평가하여 공시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입니다.
쉽게 말해서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정하는 토지의 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산정방법은 추후에 살펴보기로 하기로하고, 공시가격에는 크게 개별단독주택, 표준단독주택, 공동주택 3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요
개별단독주택가격이란 매년 국토교통부장관이 결정하는 표준단독주택가격을 기준으로 각 지자체장이 조사한 개별주택의 특성과 비교표준단독주택의 특성을 비교하여 산정한 가격에 대하여 한국부동산원의 검증을 받은 후 주택소유자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자체 장이 공시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가격은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 등 국세 및 지방세의 부과기준이 되며,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제도의 검증가격이 기준이 되므로 매우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공시지가 조회 및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검색사이트에서 '공시지가알리미'를 검색한 후 바로 나오는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를 클릭합니다.
2. 메인화면에서 공동주택, 표준단독주택, 개별단독주택 본인이 찾고자 하는 항목을 클릭합니다.
저는 아파트에 대한 공시지가를 확인하고자 하니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합니다.
3. 찾고자하는 주소를 클릭해주면 되는데요. 시/도 선택, 시/군/구 선택, 도로명 선택을 클릭하면
대부분 해당 주소지에 맞는 단지명(아파트명)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원하는 아파트를 클릭합니다.
동/호수 마다 공시지가가 다르니 본인이 매매하고자 하는 가구를 정확히 입력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4. 임의로 한 번 선택해보았는데요. 호수까지 확인 후 열람하기를 클릭하면 바로 아래쪽에 공동주택가격이 나타나는데 이게 해당 아파트 호수의 공시가격입니다. 호명 아래에 있는 산정기초자료를 눌러주면 위치도 및 주변환경도 나올 뿐만 아니라 해당 아파트의 특성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나오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고, 맨 아래쪽에는 산정의견도 추가되어 있으니 꼭 꼼꼼하게 읽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으로 공시지가 조회 및 확인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따라해보시고 궁금한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 잡다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하반기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신고방법 1분이면 끝 (1) | 2024.01.07 |
---|---|
티스토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등록하는 방법 엄청 쉬움 (1) | 2023.12.17 |
고향사랑 기부제 고향사랑e음 답례품 받기 (0) | 2023.12.16 |
윈도우 10 키보드 오류 자음 모음 분리 현상 해결방법(2)ㄱㅏㄴㅏㄷㅏ (1) | 2023.12.15 |
윈도우 10 키보드 오류 자음 모음 분리 현상 해결방법(1) ㄱㅏㄴㅏㄷㅏ (0) | 2023.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