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동산, 경제, 주식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 피크아웃(peak out)과 턴어라운드(turn around)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최근들어 뉴스기사나 주식, 경제 도서를 읽다보면서 자주 접하게 된 용어인데요,
어렵지 않은 단어다 보니 대충 의미를 유추해서 글을 읽으면 전혀 무리 없이 해석이 다 되긴 하지만
이 두 용어들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 저도 공부하면서 알게되어 포스팅까지 해봅니다 :)
피크아웃(peak out) 이란?
의미
피크아웃은 특정 지표나 경제 활동이 최고조에 달한 후 하락세로 접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경제 성장, 주가, 부동산 가격 등이 최고점을 찍고 나서 하락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사용 상황
주식 시장: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가 최고점에 도달한 후 하락세로 전환될 때.
경제: 경제 성장률이 최고치를 기록한 후 둔화되기 시작할 때.
부동산: 부동산 가격이 최고점을 찍고 나서 하락세로 접어들 때.
예시
"최근 부동산 가격이 피크아웃 현상을 보이며 하락세로 전환되고 있다."
"주식 시장이 최근 피크아웃을 기록한 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턴어라운드 (turn-around)란?
의미
턴어라운드는 기존의 하락세나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 상승세로 전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부진하던 경제 지표나 주식,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서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사용 상황
주식 시장: 하락하던 주식이 반등하여 상승세로 돌아설 때.
경제: 침체된 경제가 회복 국면으로 들어설 때.
부동산: 하락하던 부동산 가격이 반등하여 상승세로 돌아설 때.
예시
"기업의 실적이 개선되면서 주가가 턴어라운드를 보이고 있다."
"경제 지표들이 회복세를 보이며 경제가 턴어라운드에 접어들고 있다."
이 두 용어는 경제와 금융 시장의 변화 추이를 설명할 때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한국도 현재 피크아웃 상태인가?
한국 경제는 피크아웃 현상을 일부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현재 한국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러 지표에서 최고점을 찍고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 둔화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2023년 하반기부터 둔화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내수 침체와 투자 감소, 소비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 투자 감소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 및 투자 감소
2024년 한국의 민간 소비 증가율은 1.7%로 예상되며, 이는 이전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설비 투자는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건설 투자는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투자 감소는 전체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수출 회복
다행히 수출은 반등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총 수출은 2024년에 4.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경제 성장률 상승과 함께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 경제는 내수 침체와 투자 감소를 주 원인으로 한 피크아웃 현상이 일부 나타나고 있지만 반도체 수출과 고용의 증가(특히 여성, 고령층의 노동 증가) 가 긍정적인 역할로 받쳐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생활정보 > 잡다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코인 용어 ] 휩쏘 , 불 트랩, 베어트랩 (0) | 2024.05.29 |
---|---|
반도체 AI 대장 엔비디아의 액면분할 일정, 액면 후 주 (0) | 2024.05.26 |
미국 주식 반도체 ETF: 종류와 레버리지 ETF까지 총정리 (0) | 2024.05.23 |
kc 미인증 해외 직구 금지: 소비자 안전과 기업 경쟁력 강화의 양날의 검 (0) | 2024.05.18 |
유튜브 시작하기 전 소재, 컨셉 고르는 팁! (2) | 2024.05.16 |
댓글